일상다반사

과학 기술과 사회 - 과학 혁명과 패러다임

뿌레도 2018. 11. 15. 03:33
728x90

2018년 11월 15일 03시 33분

과학 혁명과 패러다임


부제 : 과학의 발전과 패러다임






인문·사회 보다 과학의 발전 속도가 빠른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을 가지고 문제 해결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과학적 방법

1. 가설(이론)을 만든다.

2. 실험(관찰)을 통해 증거를 제시한다.

3. 가설이 입증된다.


과학적 방법의 논리적 한계점

1. 귀납의 한계

2. 관찰(실험)의 이론 적재성

3. 증거의 과소결정성

플로지스톤 이론 vs 연소 이론






플로지스톤 이론

1. 뉴턴 역학의 진격과 화학(연금술)의 방어 

2. 최초의 종합적 화학 이론

3. 물체에 불이 붙으면 나타나는 현상을 거의 완벽하게 설명해 줌



플로지스톤 이론의 한계

플로지스톤 이론에 따르면, 금속을 불에 태웠을 때 하소 후 금속이 가벼워져야 하지만, 더 무거워 졌다.

이에 음의 질량을 가진 플로지스톤을 제시했지만 납득시키기 어려웠다.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등장과 연소 이론 - [핵심] 무게 측정과 요소의 결합과 해체

연소란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에 있는 산소가 결합하는 것


강의 속 코너 : < 희곡 : 산소 > 최초의 산소 발견자는 누구인가?

1. 스웨덴 카를 셸레 : 산소라는 물질을 발견함.

2. 영국 조지프 프리스틀리 : 산소를 공식적인 개념으로 발표

3. 프랑스 앙투안 라부아지에 : 산소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정립, 산소라고 명명함. 


연극의 끝에는 결국 수상자를 결정하지 못함.

= 세 명 모두 공이 있어 이야기 해봐야겠지만 이미 과거의 인물이기 때문에 과거의 일로 남겼다고 본다.




패러다임(Paradigm) ? 사전적 의미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

(네이버 시사상식 사전)



강의에 따르면 패러다임은

" 퍼즐게임의 조각 맞추기 "

예시로 1000 조각 퍼즐 게임이 있다고 하면, 퍼즐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은 하지 않고 퍼즐 조각을 맞추기 위한 일에만 집중한다.

즉, 과학자들은 어떤 문제의식이나 이론, 모델 등을 공유하고 있어서 매우 빠른 속도로 과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것





과학 혁명의 2가지 성격

1. 새로 제시된 이론이 모든 과학자들을 설득할 정도로 완벽하지 못함.

= 옳기 때문에 이겼다는 주장이 힘들다.

2. 두 이론 사이에는 공약 불 가능성이 존재한다.

= 두 이론 사이의 비교가 불가능하다.




미국 과학자 토마스쿤(Thomas Khun)의 해석에 따르면,

연소 이론은 옳았기 때문에 승리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후대 과학자들의 노력에 의해 승리가 쟁취된 것이다.


즉, 시간이 흐르면서 기존 이론을 지지하던 사람들이 죽고 새로운 이론을 제시한 젊은 과학자들이 많아짐에 따라서 새로운 이론이 받아 들여지고 새로운 패러다임이 시작되었다.





이번 강의를 통해 플로지스톤 이론, 연소 이론에 대해 배웠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져 왔는지 알게 되었다.



현대 사회에서는 단순히 시간의 흐름으로 인해 새로운 패러다임이 생기지 않지만 과학자들이 끊임없이 연구와 실험을 통해 많은 것을 밝혀내고 서로 논의를 하면서 한 국가 혹은 세계의 발전을 위해 힘쓰기 때문에 이 사회가 발전하고 우리가 더욱 편안한 삶을 사는 것이 아닐까?

300x250